top of page

GIST-KAIST, 복제 불가능한 '광학지문' 보안 인증기술 개발

  • jyjang77
  • 7월 23일
  • 2분 분량

나노 광학 기반 선택적 인증 광보안 소자 구현

디자인 손상없이 위·변조 차단, 정품 인증 가능

의약품 등 다양한 산업적 활용 가능성도 확보


준질서형 구조를 통한 구조색.
준질서형 구조를 통한 구조색.

광주과학기술원(GIST·총장 임기철)은 정현호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팀이 송영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팀과 공동으로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나노 광학 기술로 복제할 수 없는 보안 인증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지금까지 위·변조 방지를 위해 사용한 QR 코드, 바코드 등은 복제가 쉽고 제품마다 고유한 정보를 부여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술로 최근 주목받는 것이 '물리적 복제 불가 함수(PUF)'다. 제품 제조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생기는 무작위성을 이용해 각 제품마다 고유한 물리적 특성을 소자에 부여하는 방식으로 보안성과 인증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하지만 기존 PUF 기술은 무작위성과 고유성은 확보했지만 표면 색상 조절이 어렵고, 외부에서 쉽게 식별돼 보안성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자연계 생물에서 관찰되는 독특한 구조색 현상에 주목했다. 나비의 날개, 새의 깃털, 해조류의 잎 등은 나노미터 크기의 미세 구조체들이 완전한 질서도, 완전한 무질서도 아닌 '준질서(quasi-order)' 형태로 배열돼 있다. 이러한 구조는 육안으로는 균일한 색상을 띠지만 내부적으로는 미세한 무작위성이 존재해 위장, 의사소통, 포식자 회피 등 생존에 유리한 기능의 수행을 가능하게 한다.



PUF의 동작 원리와 주요 성능 지표.
PUF의 동작 원리와 주요 성능 지표.

이러한 자연 원리를 모사해 금속 거울 위에 유전체(HfO₂)를 얇게 증착한 뒤 그 위에 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금 나노입자를 정전기적 방식으로 자가조립시켜 준질서 구조의 플라즈모닉 메타표면을 제작했다. 육안으로 볼 때는 일정한 반사색을 띠지만 고배율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영역마다 서로 다른 무작위 산란 패턴, 즉 광학 지문이 나타난다. 겉보기에는 동일하지만 내부 구조는 절대 복제할 수 없는 나노 구조 덕분에 눈에 보이지 않는 고유 정보를 은닉하거나 선택적으로 노출할 수 있는 고차원 보안 인증 장치로 응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나노 구조체에서 생성되는 무작위 패턴을 활용하면 소자의 PUF 성능이 기존보다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구조체 자체는 수십 마이크로미터(㎛)크기이지만, 정보를 담고 있는 패턴은 ㎚ 수준이기 때문에 전 세계 인구 수를 초과하는 방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보안 시스템을 해킹하기 위해 해커가 임의로 소자를 제작한다고 가정했을 때 이를 복호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지구의 나이보다도 길어 사실상 복제가 불가능하다.


새로 개발한 보안 소자를 의약품, 반도체, QR 코드 등에 적용한 기술 시연을 통해 실제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500개 이상의 PUF 키를 생성해 분석한 결과, 비트 값 분포의 평균은 0.501로 이상적인 균형(0.5)에 가까웠고, 서로 다른 키 간 차이를 나타내는 해밍 거리 역시 평균 0.494로 측정돼 높은 고유성과 안정성을 보였다.


고온·고습·마찰 등 다양한 환경 변화에도 산란 패턴이 안정적으로 유지돼 내구성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했다. 고급 소비재, 의약품, 전자제품 등 정품 인증이 중요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정현호 교수는 “자연의 질서와 무질서가 공존하는 구조를 나노 기술로 재현함으로써, 외형은 같아 보여도 본질적으로 복제할 수 없는 광학 정보를 구현할 수 있었다”며 “이 기술은 고급 소비재부터 의약품 정품 인증이나 국가 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강력한 위조 방지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정현호 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 송영민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김규린 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연구원, 허세연 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박사, 김주환 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연구원, 이주형 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연구원, 김도은 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박사.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정현호 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 송영민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김규린 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연구원, 허세연 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박사, 김주환 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연구원, 이주형 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연구원, 김도은 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박사.

[LINK] 전자신문 김영준 기자


관련기사

[LINK] “위변조 사실상 원천봉쇄” 자연 구조색 모사…신개념 ‘광학지문 보안기술’ 주목, 헤럴드경제 구본혁 기자

[LINK] GIST-KAIST, 복제할 수 없는 보안 인증 기술 개발, 디지틀조선일보 구아현 기자

[LINK] 자연 모사한 나노 구조로 복제 불가능한 광학 보안 기술 개발, 전남일보 노병하 기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