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Media


GIST·KAIST, 전기차 배터리 나노광학 온도 시각화 센서 개발
80도 이하 열폭주 위험 실시간 감지 (앞줄 왼쪽부터)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송영민 교수, 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정현호 교수, (뒷줄 왼쪽부터) 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김주환·김현민·이주형 연구원. 전기차 배터리 화재 위험을...
9월 29일


“칠흑같은 어둠속에서도” 얼굴 정확 인식…KAIST, 차세대 AI 이미지 센서 개발
이번 연구를 수행한 송영민(왼쪽) KAIST 교수와 강동호 GIST 교수.[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별도의 이미지 처리 기술 없이도 극단적인 밝기 변화에 자동으로 적응할 수 있는 차세대 이미지 센서를 개발했다. 이 기술은 자율주행 자동차,...
8월 19일


GIST, MIT 손잡고 사람과 공존하는 차세대 AI 만든다
해외우수연구기관 협력허브 구축사업 유일 선정 MIT와 '피지컬 AI 상호작용 연구센터' 설립 광주 AI 집적단지 연계 글로벌 연구 협력 거점 구축 광주과학기술원(GIST)이 미국 MIT(매사추세츠공대)와 손잡고 인간 중심의 '피지컬...
8월 19일


GIST-KAIST, 복제 불가능한 '광학지문' 보안 인증기술 개발
나노 광학 기반 선택적 인증 광보안 소자 구현 디자인 손상없이 위·변조 차단, 정품 인증 가능 의약품 등 다양한 산업적 활용 가능성도 확보 준질서형 구조를 통한 구조색. 광주과학기술원(GIST·총장 임기철)은 정현호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팀이...
7월 23일


How the natural world is inspiring the robot eyes of the future
Intelligent machine vision could get a boost from unconventional hardware design. The miniature curved compound eye, called CurvACE, was...
6월 30일


GIST,'청색기술·경제 심포지엄' 개최…지속 가능한 미래 위한 기술·철학 접점 조명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16일 오룡관 101호에서 '청색기술·경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16일 오룡관 101호에서 '청색기술·경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이은지 GIST 신소재공학과(조직위원장)...
6월 17일


에메랄드빛 나비 모방해 양방향 디스플레이 개발
GIST, 재귀반사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어느 각도든 선명한 무지개빛 볼 수 있어 오른쪽부터 재귀반사 플랫폼을 개발한 송영민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와 고주환 박사후연구원, 여지은 학생, 정효은 학생./GIST 국내...
2024년 6월 21일


독수리 '눈' 모방한 카메라, 3.6배 더 민첩히 움직임 감지한다
IBS-GIST 공동 연구팀, 새의 눈 닮은 물체 감지 특화 카메라 개발... 무인 로봇·드론 적용 기대 ▲ 새 눈의 구조와 특징 새 눈은 깊고 좁은 모양의 중심와를 가지고 있으며, 눈으로 들어온 빛은 중심와에서 굴절된다. 이로 인해 확대된 상이...
2024년 5월 31일


순록 눈 본딴 ‘능동 나노 광필터’…자율주행차 안전 지킨다
국내 연구진이 순록의 눈을 본따 외부 조명과 무관하게 물체를 같은 색으로 볼 수 있는 광필터를 개발했다. 자율주행차의 주행 안전 성능을 높이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정현호·송영민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가...
2024년 2월 29일
bottom of page